본문 바로가기
파이어족/경제상식

과거와 현재 경기 사이클 비교와 금융 시장 시사점

by 소니부부 2023. 12. 10.
반응형
반응형

1. 경기의 상승국면과 하강 국면

한국의 경기 순환

 

▶ 우리나라의 과거 경기순환 과정을 보면 경기 상승국면과 하강국면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비대칭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기순환을 살펴보면 가장 긴 주기는 67개월, 가장 짧은 주기는 35개월로서 차이가 컸습니다. 또한 한 주기 내에서 상승국면의 지속기간은 평균 31개월, 하강국면의 지속기간은 평균 18개월로 경기 상승국면은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 반면 하강국면은 짧은 기간 내에 급격히 이뤄졌습니다. 

 

 지금은 어떨까요? 

코로나19로 경제 타격을 받으면서 한국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0년 5월 저점을 기록했습니다.

경기에 대한 의심은 많지만 평균적으로 상승국면이 31개월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1년 정도는 경기의 추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2. 짧아지는 경기 주기와 투자 시사점

 

 경기 순환은 과거에 비해서 짧아지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경기 주기는 약 60개월이었으며 진폭 역시 컸습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경기 순환주기는 40개월 이내로 단축됐으며 진폭 역시나 줄어들었죠. 이렇게 경기 주기가 짧아진 배경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경기 순환이 나타나는 이유인 수요와 공급 간 불일치, 재고에서 비롯됩니다.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이 재고를 적게 가져가기 시작했습니다. 기술 발달로 인해 재고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통망 혁신 속에 오프라인 소매업이 온라인으로 대거 편입됐습니다.

수요가 만성적으로 부족해지면서 기업들은 재고를 비용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만약을 위해 축적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재고를 소진하지 못할 경우 비용이 늘어난다는 인식을 하게 됐죠. 

 

 투자도 대규모로 필요하지 않게 됐습니다. 

과거에는 철강, 화학, 조선, 자동차 등 대규모 장치산업들이 주도하는 경제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큰 규모로 투자가 나타났지만 지금은 애플, 아마존, 네이버, 카카오 등 IT나 바이오 등 지식 기반의 산업들이 주도하는 경제가 됐습니다. 

지식 기반 산업은 한번에 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하기보다는 끊임없이 지식재산권 투자가 나타나야 하며 그 규모 역시 철강, 화학, 조선, 자동차 등에 비해서는 적습니다.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일까요? 

과거에는 경기 주기가 길고 진폭도 커서 투자를 장기간에 걸쳐서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장기간에 걸친 투자가 어렵습니다. 시시각각 경제의 흐름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시계를 짧게 가져가는 것이 유리해졌습니다. 유연적 투자 의사 결정도 필요해졌고요.


3. 경기 국면별 금융시장 흐름 

 

경기 국면별로 자산을 투자해야 할 시기가 달라집니다. 

 

 봄이라 불리는 금융장세는 회복국면입니다. 

경기와 물가가 저점에서 반등하는 시기죠. 정책적으로는 통화완화와 재정확대를 통해 매우 긍정적 환경입니다. 또한 주식과 채권 모두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입니다. 

 

 상승국면으로 진입하면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펀더멘탈에 기반한 자산가격 흐름이 연출됩니다. 

여기에서 동반되는 것이 인플레이션입니다.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 안정을 위해서라도 통화정책은 점진적 정상화에 나서게 되고 재정정책 역시 이전보다는 확장 지출을 줄이고 증세를 하는 등 강도를 조절합니다. 이때는 주식이 채권보다 상대적으로 낫습니다. 채권의 경우 성장과 물가가 올라가면 금리가 올라가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주식은 기업실적에 연동돼 주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조정을 보이더라도 우상향 추세를 유지합니다. 펀더멘탈에 집중한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겠습니다. 

 

 후퇴국면은 경기와 물가 모두 하강 국면으로 전환하는 시기입니다. 

통화긴축과 재정수축이 나타나면서 정책 정상화 부담이 경기를 추가로 짓누르는 구간입니다. 경기가 후퇴국면으로 진입하는 시점에는 주식과 채권 모두 재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채권이 상대적으로 가격 하락폭이 적은 구간입니다. 

 

마지막으로 수축국면입니다. 

경기와 물가 모두 하향세가 극심해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는 구간입니다. 경기에 대한 우려 속에 통화완화와 재정확대가 시작되며 정책적으로는 긍정적 구간에 진입합니다. 대부분 수축국면은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됩니다. 정책 지원이 뒷받침되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시일로는 코로나19 직후가 있겠습니다. 

수축국면에는 극심한 안전자산 선호 속에 채권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주가는 조정폭이 커집니다. 하지만 이후 금융장세를 앞두고 있으니 수축국면을 무조건 무서워하기보다는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시기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023.12.10 - [경제/경제상식] - 경기 순환 종류와 분석

 

경기 순환 종류와 분석

1. 경기의 정의 ▶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경기가 좋다거나 나쁘다는 말을 자주 합니다. ▪ 보통 개별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늘거나 수익성이 나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말합니다. 개인들은 소득이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2023.12.10 - [경제/경제상식] - GDP 추세와 순환적 요인으로 구분

 

GDP 추세와 순환적 요인으로 구분

★ GDP 추세는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 GDP에도 추세가 있고 순환이 있는데 추세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지와 순환적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를 나눠서 보겠습니다. ▪ GDP는 꾸준히 우상향합니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반응형

'파이어족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의 함의  (0) 2023.12.12
금리의 개념과 결정 요인  (0) 2023.12.11
경기 순환 종류와 분석  (0) 2023.12.10
GDP 추세와 순환적 요인으로 구분  (0) 2023.12.10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1) 2023.1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