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어족/경제상식

GDP 추세와 순환적 요인으로 구분

by 소니부부 2023. 12. 10.
반응형
반응형

★ GDP 추세는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 GDP에도 추세가 있고 순환이 있는데 추세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지와 순환적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를 나눠서 보겠습니다. 

 

GDP는 꾸준히 우상향합니다. 생산에 필요한 요소는 크게 노동력과 자본, 생산성이 있는데 이 3가지가 합쳐서 생산량을 결정합니다. 그런데 노동력과 자본, 생산성 모두 꾸준히 늘어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인구가 감소하겠지만 아직까지는 인구는 늘고 있고, 생산설비 등 자본도 축적됩니다. 생산성도 꾸준히 개선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세적으로 경제는 우상향하는 흐름을 보입니다. 

추세만큼 성장하는 성장률을 잠재성장률이라고 합니다. 한 국가가 가지고 있는 생산능력(노동력, 자본, 생산성)을 모두 활용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입니다. 노동력과 자본 활용을 못해 잠재 GDP만큼 성장이 나오지 못할 수도 있고, 특근 등 노동력을 추가로 활용하거나 레버리지를 통해 미래의 자본을 앞당겨 사용했을 때 잠재 GDP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도 있습니다.


생산 가능 인구와 경제 성장률

 

GDP 추세를 결정하는 노동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구조적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핵심 요소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의 증가세 둔화입니다. 2016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됐죠. 미국은 상대적으로 나은 흐름입니다. 이민자를 받아들인 영향이죠. 생산가능인구 증가세가 둔화되나 한국보다는 완만합니다. 이에 미국의 잠재성장률은 2% 내외로 한국과 유사합니다. 

 

노동력과 함께 총자본형성도 GDP 추세를 결정합니다. 

 

자본은 재화 및 용역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생산요소 중 하나입니다. 자본스탁, 즉 투자 확대가 이뤄질 경우 성장세가 개선됩니다. 미국과 한국 모두 총자본형성 증가율 둔화세가 이어집니다. 한국은 IMF 이전까지 자본스탁이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율을 이어가다 IMF을 계기로 한 자릿수 중반, 금융위기를 경험하며 3%대로 둔화됐습니다. 미국 역시 증가세가 둔화되나 한국에 비해 증가세가 완만하게 둔화됩니다. 한국의 잠재 성장률 둔화가 가파른 이유가 생산자본스톡 둔화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자본과 노동은 투입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동일한 자본과 노동량에도 생산성에 따라 생산량이 결정됩니다. 

생산성은 기술 혁신과 산업 및 고용시장의 역동성 여부에 의해 결정됩니다. 산업과 고용시장 내 구조조정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생산성이 우수한 기업과 노동자만 남기 때문에 생산성이 상향될 수 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모두 생산성이 저하됐습니다.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각국 정부가 유동성 지원 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쳤고, 평상시라면 망해야 될 기업들이 대거 살아남아 간신히 정책 지원에 연명하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이 많을수록 생산성이 둔화돼 잠재 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잃어버린 30년을 탈피하고자 정부가 산업 구조조정 등 개혁에 나선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경제도 숨을 쉰다, GDP의 순환

 

 경제가 추세대로 성장한다면 우리가 우려하는 경기 부진, 경기 과열 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경기는 어느 때는 너무나 차갑게, 또 언제는 너무나 뜨겁게 달아오릅니다.

 

이는 경제 성장이 일정한 속도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확장에서 후퇴, 수축, 회복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GDP는 일정 기간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이라고 말할 때, 공급의 관점에서 GDP를 살펴본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해당 기간에 모두 소비되지 않을 때도 있고 아니면 다 소비되어 가지고 있던 재고를 소진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수요와 공급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기업이 만약 미래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면 지금 현재 필요한 것 이상으로 더 많은 물건을 생산해 재고를 확보하려고 하겠지요. 이럴 경우 적정 수준보다 더 많은 생산이 이뤄져 해당 기간에는 경제가 빠르게 성장합니다. 이러한 구간을 회복 또는 확장 구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이러한 추세가 유지되지는 않겠죠. 어느 순간부터 소비를 다 못하고 남는 물건이 생길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기업은 가지고 있는 재고를 소진하고 생산을 줄일 것입니다. 경기가 후퇴, 수축되는 과정이죠. 

즉, 수요와 공급 간의 불일치가 경기 순환을 야기합니다. 경기 순환이 중요한 이유는 어떠한 경기 국면에 있느냐에 따라 금융시장 환경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현재 어떤 경기 국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3.12.09 - [경제/경제상식] -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 지출항목별 GDP는 민간소비와 민간투자, 정부지출로 파악했습니다. ▪ 식을 약간 변용하면 투자는 GDP에서 민간소비와 투자를 뺀 값입니다. 여기에서 T라는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2023.12.09 - [경제/경제상식] - 생산/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의 특성

 

생산/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의 특성

★생산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 특성 ▶ GDP의 구조에서 나라마다 경제 특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국가별로 서비스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미국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