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어족/경제상식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by 소니부부 2023. 12. 9.
반응형
반응형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폐쇄경제에서의 저축과 투자 간 관계

 

지출항목별 GDP는 민간소비와 민간투자, 정부지출로 파악했습니다. 

 

식을 약간 변용하면 투자는 GDP에서 민간소비와 투자를 뺀 값입니다. 여기에서 T라는 세금을 추가 해봅니다. 민간 부문에서는 T를 빼고 정부 부문에서는 T를 더하면 (Y-C-T)는 민간이 생산한 것에서 소비와 세금을 뺀 거니 민간의 남는 돈, 즉 민간저축이 됩니다. 정부는 세금이 곧 재정수입이 되겠고 G는 재정지출이 됩니다. 그래서 T-G는 정부저축이 되는 것입니다. 

 

 즉, 개인저축과 정부저축을 합하면 투자이고 총저축이 총투자를 의미합니다. 

 

 폐쇄경제에서 투자는 저축의 양에 좌우됩니다. 한국이 과거 1960~90년대까지 저축을 장려했습니다. 생산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한국으로서는 투자를 늘려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기에 저축을 장려해 투자를 확대했습니다.

 


개방경제에서의 저축과 투자 간 관계

 

개방경제에서는 수출과 수입이 추가됩니다. 

 

여기에서는 국민저축에 순수입을 더한 값이 투자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무역적자를 본다고 하면 부정적으로 인식되는데 무역적자를 보기 위해서는 해외 금융시장으로부터 자금이 들어와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순수입은 외국 저축과 동일합니다.  그래서 개방경제에서 투자는 국민저축과 외국저축을 합친 값이 됩니다. 

 

한국의 구조적 경상 흑자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하나는 수입을 할 게 적다라는 뜻으로 과소소비를 의미합니다. 또한 투자의 대상이 부재하다는 뜻도 됩니다. 항상 좋게만 해석되는 경상 흑자가 어찌 보면 허약한 내수 체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에서 알 수 있는 시사점입니다.

 

2023.12.09 - [경제/경제상식] - 생산/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의 특성

 

생산/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의 특성

★생산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 특성 ▶ GDP의 구조에서 나라마다 경제 특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국가별로 서비스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미국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2023.12.08 - [경제/경제상식]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기업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돈과 토지를 빌려 생산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 창출된 부가가치는 경제 주체들에게 분배됩니다. 노동력을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