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 특성
▶ GDP의 구조에서 나라마다 경제 특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국가별로 서비스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미국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선진국 대부분이 서비스업 비중이 70%를 넘고 80%에 육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과 중국은 50%대에 불과합니다.
▶ 서비스업은 도대체 무엇이 있길래 이렇게 많은 비중을 차지할까요?
▪ 우리 실생활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활동이 서비스업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도소매업, 여가 및 문화, 숙박 및 외식, 운송업 등 대면활동이 많은 산업들이 서비스업에 포진되어 있죠.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사태에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 코로나19 이후에 빠른 경기 회복이 나타난 국가 중 하나입니다. 한국이 빠른 경기 회복을 보였던 이유가 정부의 신속한 정책 대응에 있었던 부분도 있지만 경제구조상 한국은 경기 반등이 상대적으로 쉽게 나올 수 있는 국가입니다.
▪ 코로나19 충격은 대면 활동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에 집중이 됐습니다. 한국 역시 서비스업 비중이 높으나 다른 국가보다는 적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전염병 감염 우려로 서비스 소비를 하지 못하자 자동차, 가전제품 등 물건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재화를 생산하는 제조업이 상대적 수혜를 받았고 우리나라 역시 그 영향에 상대적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 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 특성
▶ 지출항목별 GDP를 통해 국가의 특성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 GDP를 지출항목별로 나눠보면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권투자, 재화 및 서비스 순수출, 정부소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민간소비가 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투자를 의미하는 총고정자본형성이 29%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정부소비가 16%입니다. 수출과 수입을 뺀 순수출은 5%를 차지합니다.
▪ 선진국일수록 소비의 비중이 높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자국 내 제조업 공장들이 상대적으로 적어 해외에서 생산된 물건들을 수입해서 소비하기 때문에 생산에 필요한 투자활동 지출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그마저도 지식재산권투자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개발도상국일수록 물건을 생산해서 해외로 수출하며 성장하는 국가들이 많습니다. 생산을 늘리려면 기계와 공장, 건물들을 지어야 합니다. 그 과정이 투자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경제 성장의 초기에 있는 국가일수록 투자와 수출 비중이 크다가 일정 시기가 지나면 투자와 수출 비중이 줄어듭니다.
▪ 중국은 2001년 WTO 가입 이후 세계의 공장 역할을 했고 GDP에서 투자와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금융위기 전까지 확대됐습니다. 하지만 금융위기를 계기로 선진국들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 등 공급망 구조를 재편했습니다. 중국은 생산 중심의 경제구조에 한계를 느껴 GDP에서 투자와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고 소비의 비중을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작년에는 소비 우선의 쌍순환 정책을 내세우며 성장전략 변화를 천명했습니다.
2023.12.08 - [경제/경제상식]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2023.12.08 - [경제/경제상식] -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 경제성장 ▪ 한 나라의 경제 규모가 커지는 것을 경제성장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총생산(GDP)을 통해 측정합니다. ★ 국내총생산(GDP) ▪ GDP는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새로 생산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기업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돈과 토지를 빌려 생산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 창출된 부가가치는 경제 주체들에게 분배됩니다. 노동력을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파이어족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 추세와 순환적 요인으로 구분 (0) | 2023.12.10 |
---|---|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1) | 2023.12.09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1) | 2023.12.08 |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0) | 2023.12.08 |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1) | 2023.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