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기업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돈과 토지를 빌려 생산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 창출된 부가가치는 경제 주체들에게 분배됩니다. 노동력을 대가로 임금을 지급하고, 돈과 토지를 빌린 대가로 이자와 임대료를 냅니다. 그 나머지는 이윤이 됩니다.
▪ 생산된 부가가치는 결국 이를 분배한 결과와 같기 때문에 생산 GDP와 분배 GDP는 동일합니다. 이렇게 분배된 소득은 물건을 구입해 소비하는 데 쓰이기도 하고 조세로 납부돼 정부가 여러 가지 재정 활동을 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그 나머지는 저축돼 기업이 건물을 짓거나 생산시설을 갖추는 등 투자행위에 사용됩니다.
▪ 이처럼 소득은 가계와 정부의 소비지출, 기업의 투자지출 등으로 모두 지출됩니다. 결국 생산 GDP = 분배 GDP = 지출 GDP이기 때문에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2023.12.08 - [경제/경제상식] -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 경제성장 ▪ 한 나라의 경제 규모가 커지는 것을 경제성장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총생산(GDP)을 통해 측정합니다. ★ 국내총생산(GDP) ▪ GDP는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새로 생산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2023.12.06 - [경제/경제상식] -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 한국 투자자들이 해외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한국 투자자들이 해외의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한국의 상장업체 대부분이 수출 기업이기 때문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 생산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 특성
▪ GDP의 구조에서 나라마다 경제 특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19년 한국 GDP를 산업별 생산으로 구분하면 제조업이 26.5%, 서비스업이 56.2%입니다. 제조업 강국이라는 명성에 비해 적어 보이지만 이것조차도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높은 편입니다.
'파이어족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를 이용한 저축과 투자 간 관계 (1) | 2023.12.09 |
---|---|
생산/지출 GDP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국가의 특성 (1) | 2023.12.09 |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0) | 2023.12.08 |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1) | 2023.12.06 |
거시경제를 통해 주식시장을 바라보는 법 (1) | 2023.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