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환경 판단
▪ 주가는 미래의 기업이익을 할인율로 나눠서 도출됩니다. 이때 개별 기업의 이익은 현재를 근거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보통 미래의 이익을 전망합니다. 할인율은 주가를 기업이익으로 나누면 현재 이 주가가 얼마만큼의 가치를 받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밸류에이션의 분류
▪ 밸류에이션은 크게 객관적 할인율과 주관적 할인율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객관적 할인율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할인율인 명목금리이고, 각 기업, 산업, 국가에 해당되는 주관적 할인율이 객관적 할인율에 더해지는 것입니다.
★ 국가의 관점에서 KOSPI 전망
▪ KOSPI의 기업이익은 국가 전체의 경제 상황을 대변하는 GDP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시장할인율은 우선 국고채 3년 금리처럼 눈에 보이는 객관적 할인율을 먼저 쓰고 여기에 위험 프리미엄(국가의 재정건전성이나 성장성, 변동성 등을 감안)을 구합니다.
★ 한국 GDP와 기업이익
▪ 그래프를 보면 GDP와 기업이익 간의 높은 동행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기마다 발표되는 GDP에 비해 기업이익은 매시간 바뀝니다. 따라서 월간, 주간, 일간마다 발표되는 지표를 통해 GDP를 추정해 나갑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고용지표를 통해 성장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의 흐름이 중요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와 구글을 통해 집계가 가능한 일간 경제 활동량 등을 통해 경기 흐름들을 계속해서 추적합니다. 일부 기간에는 성장률과 기업이익 간 차별화된 흐름이 나오지만 대체로 비슷한 흐름이 나오기 때문에 GDP를 통해 기업이익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국 성장률, 밸류에이션
▪ 할인율은 과거에 비해 최근 들어서 중요해졌습니다. 경제성장률의 변동이 밋밋하게 변했기 때문입니다. 금융위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경제성장률의 변화는 역동적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DP의 방향성이 금융시장의 향방을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부터 성장률이 평균 2~4%대에서 오르락내리락 하다 보니 성장의 방향성이 모호해졌습니다. 결국 KOSPI를 결정하는 분자의 영향은 약화되고 분모인 할인율의 역할이 커졌습니다.
▪ 할인율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좀 더 주목하는 분위기가 됐습니다. 투자자들 역시 경기에 대한 방향보다 연준 등 중앙은행이 언제까지 돈을 풀 것인지, 즉 유동성 환경에 주목하고 이에 맞춰 투자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2023.12.10 - [경제/경제상식] - 과거와 현재 경기 사이클 비교와 금융 시장 시사점
과거와 현재 경기 사이클 비교와 금융 시장 시사점
1. 경기의 상승국면과 하강 국면 ▶ 우리나라의 과거 경기순환 과정을 보면 경기 상승국면과 하강국면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비대칭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파이어족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나라의 경제 성적표 <국민소득/GDP> (0) | 2023.12.08 |
---|---|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1) | 2023.12.06 |
금융환경을 고려한 투자 비중 조절 (0) | 2023.12.05 |
단기 투자 시 경기 순환 (0) | 2023.12.04 |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 투자 방식 (탑다운, 바텀업) (1) | 2023.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