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어족/경제상식

금융환경을 고려한 투자 비중 조절

by 소니부부 2023. 12. 5.
반응형

★ 금융환경 판단 

금융환경은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금융시장 종사자의 심리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금융환경이 좋을 때는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주식이나 고위험 회사채 등으로 자금이 몰리며 가격이 높게 형성됩니다. 그리고 기업도 쉽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금융환경은 유동성 환경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융환경이 우호적인지 배타적인지의 판단이 중요한데,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충격 시 실제로 해당 충격에 영향이 적은 기업조차(예를 들면 코로나19 충격 당시 오히려 수혜 업종이 될 수 있는 코로나19 진단 업체 등)도 주가 조정이 컸습니다. 그리고 음·식료품, 유틸리티 등 무조건 소비를 해야만 하는 물건을 파는 기업들까지도 주가 조정이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금융환경이 악화될 때는 펀더멘탈과 별개로 주가가 조정을 보이며, 금융환경이 매우 좋을 때는 펀더멘탈이 나쁘더라도 주가가 좋을 수 있습니다.

 

2023.12.10 - [경제/경제상식] - 경기 순환 종류와 분석

 

경기 순환 종류와 분석

1. 경기의 정의 ▶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경기가 좋다거나 나쁘다는 말을 자주 합니다. ▪ 보통 개별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늘거나 수익성이 나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말합니다. 개인들은 소득이

pmseonpassivincom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