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로나195

코로나19 직후 한국 수출 회복 배경과 향후 핵심 요인 1. 코로나 19 직후 한국 수출 반등 배경 ❖ 한국 수출 분석을 통해 한국경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코로나19 직후 한국 수출은 급반등했습니다. ▪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근본적으로는 선진국 수요가 좋아져서입니다. ▪ 선진국 가계 소득은 실제로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심이 됐죠.  ❖ 코로나19 이후 연평균 미국 가계소득은 7% 이상 늘었습니다. ▪ 코로나19 이전이 평균 4% 증가한 데에 비해 더 빨리 증가했죠. 이를 주도했던 것은 정부의 소득 보전 조치가 컸습니다. ▪ 실업급여의 추가 지급,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등이 늘어난 것과 함께 근로소득 역시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한 속도로 늘었죠. ✔ 경제 정상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고용의 양적 회복이 나.. 2024. 5. 8.
코로나 19 이후 구조적 변화와 한국경제 경쟁력 1.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세계 각국의 수요자에게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누가 공급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신흥국은 세계의 공장 역할을 담당하며 값싼 제품을 공급했고 선진국은 이를 수입해서 소비하는 구조를 지녔죠. ❖ 금융위기 이후 가계와 기업은 디레버리징을 하면서 소비 여력이 축소됐습니다. ▪ 국가 간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이뤄진 분업화로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부가 이전되는 결과가 일어났습니다. ▪ 여기에 신흥국이 무역을 토대로 벌어들인 부를 기반으로 기술 발전을 꾀하면서 선진국의 경쟁 상대로 변했습니다. ✔ 특히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었죠.  ❖ 금융위기 이전까지 미국은 중국에 생산에 필요한 기계, 부품, 소재 등을 공급.. 2024. 5. 7.
환율의 개념과 결정 요인 1. 환율의 개념❖ 우리나라 환율의 변동성 확대 요인을 살펴보기 전에 환율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봐야겠죠.  ❖ 환율은 영어로 Exchange Rate 또는 Foreign Exchange Rate라고 표현하는데요. ▪ 쉽게 생각해서 자국 통화와 외국 통화 간의 교환 비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즉, ‘달러가 얼마인가요?’, ‘유로화가 얼마인가요?’와 같이 외국 돈의 가격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한국의 A은행에서 1달러는 1,200원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미국에서는 1원을 0.000833달러로 표시할 수 있겠죠.  ❖ 뉴스를 보다 보면 달러화지수가 상승했다, 강 달러, 약 달러라는 말이 나옵니다. 환율은 상대가격이므로 절대적 가치를 매길 수가 없는데 어떻게 강 달러,.. 2024. 4. 28.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확대 배경과 향후 후름 1. 유동성 확대 배경 ❖ 코로나19 이후 유동성이 확대된 배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유동성이 확대되려면 공공이 투입되는 유동성의 양이 커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주요국들은 재정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쳤습니다. 재정수입에 비해 재정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재정적자가 커졌습니다. ▪ 금융위기 직후에는 정부의 재정적자가 확대된 시기와 양적완화가 시작된 시기가 엇갈렸고, 양적완화 규모 역시나 정부 재정적자 확대를 상쇄하기에 부족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연준이 무제한 양적완화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금융위기 이후 약 8년에 걸쳐 매입한 것보다 코로나19 직후 연준이 양적완화를 통해 자산을 매입한 규모가 더 컸습니다. ▪ 채권을 발행할 경우 민간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 2024.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