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출4 코로나19 직후 한국 수출 회복 배경과 향후 핵심 요인 1. 코로나 19 직후 한국 수출 반등 배경 ❖ 한국 수출 분석을 통해 한국경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코로나19 직후 한국 수출은 급반등했습니다. ▪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근본적으로는 선진국 수요가 좋아져서입니다. ▪ 선진국 가계 소득은 실제로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심이 됐죠. ❖ 코로나19 이후 연평균 미국 가계소득은 7% 이상 늘었습니다. ▪ 코로나19 이전이 평균 4% 증가한 데에 비해 더 빨리 증가했죠. 이를 주도했던 것은 정부의 소득 보전 조치가 컸습니다. ▪ 실업급여의 추가 지급,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등이 늘어난 것과 함께 근로소득 역시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한 속도로 늘었죠. ✔ 경제 정상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고용의 양적 회복이 나.. 2024. 5. 8. 코로나 19 이후 구조적 변화와 한국경제 경쟁력 1.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세계 각국의 수요자에게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누가 공급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신흥국은 세계의 공장 역할을 담당하며 값싼 제품을 공급했고 선진국은 이를 수입해서 소비하는 구조를 지녔죠. ❖ 금융위기 이후 가계와 기업은 디레버리징을 하면서 소비 여력이 축소됐습니다. ▪ 국가 간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이뤄진 분업화로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부가 이전되는 결과가 일어났습니다. ▪ 여기에 신흥국이 무역을 토대로 벌어들인 부를 기반으로 기술 발전을 꾀하면서 선진국의 경쟁 상대로 변했습니다. ✔ 특히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었죠. ❖ 금융위기 이전까지 미국은 중국에 생산에 필요한 기계, 부품, 소재 등을 공급.. 2024. 5. 7. 수출이 한국 경제에 있어 중요한 이유 1. 제조업, 투자에 집중된 산업구조❖ 수출이 한국경제에 중요한 이유는 한국 산업구조가 제조업과 투자에 치우쳐 있기 때문입니다. ❖ 한국 GDP에서 제조업 비중은 27%입니다. 절대적으로는 서비스업 비중이 60%가 넘어 훨씬 크죠. ▪ 그런데 서비스를 소비하기 위한 소득은 대부분 어디에서 비롯되는 걸까요? ▪ 한국이 대외 자본 유입 없이 자급자족을 한다면 5천만 명에 해당하는 수요만 창출할 수가 있겠죠. ▪ 하지만 우리나라는 5천만 명분 이상을 위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 바로 수출을 통해 해외로 물건을 팔기 때문이죠. ❖ 절대적인 비중은 서비스업에 비해 작지만 세계적으로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은 세계 최고수준에 들어갑니다. ▪ 세계 제조업 비중 평균이 16%이.. 2024. 5. 1.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 한국 투자자들이 해외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한국 투자자들이 해외의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한국의 상장업체 대부분이 수출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기업 대부분이 수출기업으로 수출과 KOSPI 기업이익 간 관계는 매우 높을 수밖에 없고, 대부분의 기업이익이 해외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 한국의 지역별 수출 비중 ▪ 한국의 지역별 수출 비중만 본다면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과 아세안(ASEAN) 등 신흥 아시아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가장 주목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 대부분 투자자들은 중국보다 미국과 EU 등 선진국 경제를 좀 더 주목합니다. 그 이유는 한국 수출이 중국 경기보다 미국 경기를 민감하게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2023. 12.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