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승2 과거와 현재 경기 사이클 비교와 금융 시장 시사점 1. 경기의 상승국면과 하강 국면 ▶ 우리나라의 과거 경기순환 과정을 보면 경기 상승국면과 하강국면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비대칭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기순환을 살펴보면 가장 긴 주기는 67개월, 가장 짧은 주기는 35개월로서 차이가 컸습니다. 또한 한 주기 내에서 상승국면의 지속기간은 평균 31개월, 하강국면의 지속기간은 평균 18개월로 경기 상승국면은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 반면 하강국면은 짧은 기간 내에 급격히 이뤄졌습니다. ▶ 지금은 어떨까요? ▪ 코로나19로 경제 타격을 받으면서 한국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0년 5월 저점을 기록했습니다. ▪ 경기에 대한 의심은 많지만 평균적으로 상승국면이 31개월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1년 정.. 2023. 12. 10. 단기 투자 시 경기 순환 단기 투자시 경기 순환 ▪ 일반적으로 실물경제는 회복국면에 있을 때 금융경제의 흐름이 가장 좋습니다. ▪ 경기는 크게 회복, 상승, 둔화, 하강의 4가지 국면이 있습니다. 이는 ‘주가가 실물경기에 선행한다’,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는 주식시장의 격언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 실물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면 주가지수는 실물경제에 앞서서 상승하고 둔화 징후가 보이면 실물경제보다 먼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외인이나 기관 세력들은 경기가 개선되는 시점에 투자를 하면 낮은 가격에 매수할 수 없어 개인들이 모르는 사이 자신들의 정보를 통해 실물경제 지표가 회복되기 전에 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또 경기지표가 낮아진 상태에서는 매수 세력이 없어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물경제 지표가 악화되기 .. 2023. 12.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