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4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확대 배경과 향후 후름 1. 유동성 확대 배경 ❖ 코로나19 이후 유동성이 확대된 배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유동성이 확대되려면 공공이 투입되는 유동성의 양이 커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주요국들은 재정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쳤습니다. 재정수입에 비해 재정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재정적자가 커졌습니다. ▪ 금융위기 직후에는 정부의 재정적자가 확대된 시기와 양적완화가 시작된 시기가 엇갈렸고, 양적완화 규모 역시나 정부 재정적자 확대를 상쇄하기에 부족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연준이 무제한 양적완화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금융위기 이후 약 8년에 걸쳐 매입한 것보다 코로나19 직후 연준이 양적완화를 통해 자산을 매입한 규모가 더 컸습니다. ▪ 채권을 발행할 경우 민간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 2024. 3. 22.
중앙은행의 역사와 역할 1. 중앙은행의 태동과 생성 ❖ 중앙은행이 어떻게 생성됐는지 살펴봄으로써 중앙은행의 역할과 목적에 대해서 더 빠른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 최초의 중앙은행이라고 하면 보통 1668년 스웨덴의 Riksbank, 1694년의 영국 중앙은행을 많이 얘기합니다. 그보다 좀 더 앞선 시기에는 1609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비셀방크가 있습니다. ❖ 네덜란드 비셀방크 ▪ 네덜란드 비셀방크의 역사는 15세기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 신대륙 발견과 함께 무역의 중심이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바뀌게 되었고 대서양 연안에 있는 네덜란드를 비롯한 항구 도시들이 무역과 금융의 중심지가 됐습니다. ▪ 당시 은행의 역할은 환전업자가 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죠. 원래 환전업자는 .. 2024. 1. 29.
금리의 함의 1. 저금리의 만연화, 저성장과 저물가의 결과 ▶현재 경제와 금융시장 환경을 살펴보겠습니다. ▪ 외환위기 이후 과거 우리나라에서 봤던 두 자릿수 (시장)금리는 찾을 수 없이 초저금리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이를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경제 환경을 보면 저금리는 저성장과 저물가, 이 두 가지가 혼합된 결과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실제로 한국과 미국을 보면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과 저물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저금리도 고착화되고 있습니다. ▪ 한국은 2001년~2008년 연평균 4.9%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성장세가 둔화되고, 2011년부터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기 이전까지 연평균 2.9% 성장하는 데 그쳤습니다. 물가도 2001년~2008년.. 2023. 12. 12.
금리의 개념과 결정 요인 1. 금리의 정의 ▶ 금리는 돈의 시간가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금융시장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돈을 빌리거나 사용한 대가로 지급하는 것을 이자라고 합니다. 원금 대비 이자가 금리입니다. ▪ ‘금리 부담이 크다’는 말에서 금리는 이자와 같은 뜻으로 쓰이며, ‘금리가 높다’고 말할 때는 금리가 이자율과 같은 뜻이 됩니다. ▶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금리가 있습니다. ▪ 은행에 돈을 맡길 때 받는 예·적금 금리, 돈을 빌릴 때 대출금리뿐만 아니라 회사채, 국채 금리 등도 있습니다. 2. 금리의 종류 ▶ 금리의 종류 ▪ 금리의 종류에는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직접적으로 거래하는 직접금융, 은행 등 중간 금융기관을 거쳐 거래하는 간접금융, 이에 따른 유형이 있습니다. 3. 금리의 결정 요인 ▶ 금리는 돈의 가.. 2023.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