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DP 디플레이터1 물가지수의 개념과 종류 1. 물가의 정의 ▶ 물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상품의 가격들을 종합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구한 평균적인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 보통 기준년도 물가지수를 100으로 놓고 어떤 시점의 물가지수를 비교해서 물가 변동률을 계산합니다. ▪ 한국은 2015년을 현재 기준년도로 두고 있습니다. 즉 2016년 물가지수가 105라면 2015년에 비해 평균 물가 수준이 5% 상승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2. 물가지수의 종류 ▶ 우리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과 언론에서 보도되는 물가 간의 괴리가 큰 것이 사실인데요. 물가의 경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것이 우리가 체감하는 물가지수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우리 소비와 관련성이 있는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 실생활에서 구입하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 2023. 12.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