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스트코로나1 코로나 19 이후 구조적 변화와 한국경제 경쟁력 1.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세계 각국의 수요자에게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누가 공급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신흥국은 세계의 공장 역할을 담당하며 값싼 제품을 공급했고 선진국은 이를 수입해서 소비하는 구조를 지녔죠. ❖ 금융위기 이후 가계와 기업은 디레버리징을 하면서 소비 여력이 축소됐습니다. ▪ 국가 간 비교우위론에 입각해 이뤄진 분업화로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부가 이전되는 결과가 일어났습니다. ▪ 여기에 신흥국이 무역을 토대로 벌어들인 부를 기반으로 기술 발전을 꾀하면서 선진국의 경쟁 상대로 변했습니다. ✔ 특히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었죠. ❖ 금융위기 이전까지 미국은 중국에 생산에 필요한 기계, 부품, 소재 등을 공급.. 2024. 5.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