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준2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확대 배경과 향후 후름 1. 유동성 확대 배경 ❖ 코로나19 이후 유동성이 확대된 배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유동성이 확대되려면 공공이 투입되는 유동성의 양이 커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주요국들은 재정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쳤습니다. 재정수입에 비해 재정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재정적자가 커졌습니다. ▪ 금융위기 직후에는 정부의 재정적자가 확대된 시기와 양적완화가 시작된 시기가 엇갈렸고, 양적완화 규모 역시나 정부 재정적자 확대를 상쇄하기에 부족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연준이 무제한 양적완화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금융위기 이후 약 8년에 걸쳐 매입한 것보다 코로나19 직후 연준이 양적완화를 통해 자산을 매입한 규모가 더 컸습니다. ▪ 채권을 발행할 경우 민간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유동성.. 2024. 3. 22.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1. 양적와화와 테이퍼링 ❖ 연준의 통화정책 도구 중에는 양적완화가 있습니다. ▪ 양적완화는 금융위기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자주 접하는 단어가 됐습니다. ▪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연준은 정책금리를 제로금리까지 낮췄습니다. 그럼에도 시중의 유동성은 부족했습니다. 금융 시스템이 망가지면서 돈이 돌지 않게 된 것입니다. 그러자 금융기관이 들고 있던 국채라든지 모기지저당증권 등은 값이 폭락하기 시작했고, 연준은 금융기관들에게서 이러한 자산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금융기관은 현금이 생기게 됐고 연준의 자산에는 증권이 늘게 되었습니다. ▪ 연준은 이렇게 정책금리 인하를 통해서도 돈이 돌지 않게 됐던 금융시장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해주고 금융기관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매입해 자산가격을 상승시켰습니다. ▪ 금융위기 .. 2024. 1.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