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플레이션2

인플레와 디플레의 함의 1. 인플레이션의 긍정적 효과 ▶ 인플레이션은 경기 회복의 가늠자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경기와 동행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물가가 하락하거나 물가 오름세가 둔화될 때는 경기가 위축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실제로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할 때는 물가가 올라가고 100을 하회할 때는 물가가 부진한 모습이 반복적으로 관찰되고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의 부정적 효과 ▶ 노동을 주 투입요소로 활용하는 기업 입장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실질임금이 하락하게 돼 고용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습니다. 고용 증가는 다시금 소득 증가로 이어져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경우 근로자는 임금 .. 2023. 12. 14.
물가지수의 개념과 종류 1. 물가의 정의 ▶ 물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상품의 가격들을 종합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구한 평균적인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 보통 기준년도 물가지수를 100으로 놓고 어떤 시점의 물가지수를 비교해서 물가 변동률을 계산합니다. ▪ 한국은 2015년을 현재 기준년도로 두고 있습니다. 즉 2016년 물가지수가 105라면 2015년에 비해 평균 물가 수준이 5% 상승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2. 물가지수의 종류 ▶ 우리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과 언론에서 보도되는 물가 간의 괴리가 큰 것이 사실인데요. 물가의 경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것이 우리가 체감하는 물가지수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우리 소비와 관련성이 있는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 실생활에서 구입하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 2023. 12. 13.
반응형